킹 오브 킹스 - 은비까비 예수님 버전

북미에서 인기를 끌었다고 해서 다시 역수입이 되고 우리 나라 사람들도 덩달아서 보게 되는 걸 보면 역시 뽕 중의 뽕은 국뽕인가. 어쨌든 궁금하다, 북미 사람들은 왜 이걸 다들 재미있게 봤다는 건지.






액자식 구성


영국의 어느 집안에서 아빠가 아이에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리고 그 속의 이야기는 예수의 전 생애를 요약하고 있다. 그냥 예수의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훨씬 다이내믹하고 재미있게 이야기를 관객에게 풀어갈 수 있는, 거의 필수적인 구성이다. 심지어는 이야기 속에 아이가 등장하여 훼방을 놓거나 오병이어에서 사용할 음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기왕 할 거면 조금 더 적극적으로 모든 이야기에 개입했으면 어땠을까 한다. 귀여운 고양이 친구는 초반에만 활약하고 나중에는 그저 구경만 하게 되는데, 요셉을 쫒는 병사들을 따돌리는데 활약한다든지, 다른 말썽을 피운다든지 했어도 좋았을 것을. 잃어버린 고양이를 예수님이 찾아주는 정도로는 좀 허전하다.

또 이 구성은 예수는 현재 살아계신 너의 예수라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예수를 현재로 소환하고 직접 아이와 만나면서 지금도 만날 수 있는 사람처럼 느끼게 만들어주고, 심지어는 바다에 빠지는 베드로가 아이가 되어 그 아이를 구해주는 장면까지 더해서 바로 너의 구원자라는 메시지를 전해준다.



너무 많은 이야기


예수 한 사람의 생애로도 벅찬데, 여기에 출애굽 사건과 원죄의 의미까지 전달하려고 하니 도저히 예술적으로 전달할 방법이 없다. 결국 교육적 방법으로 그냥 나레이션으로 읊어주는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것도 아이에게 아빠가 나레이션을 해주는 전형적인 설명충 방식이다. 복잡한 부분들을 그냥 나레이션으로 때울 수 밖에 없다는 거... 이야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지 못하니 어쩔 수 없다.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서는 복잡한 부분들 다 빼고 예수의 마지막 부분만 정확하게 전달한다. 그랬더니 크리스트교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은 그냥 영문도 모른 채 봐야 한다는 것이 문제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 어떤 의미인지 요약이라도 해서 전달하려니 그냥 교육 비디오가 된다. 애초에 그 거대한 종교 교리를 어떻게든 한 편의 영화로 담으면서 재미까지 있으려는게 대단한 욕심이다.

이 정도면 교육용도로서 더 이상 재미있을 수 없는 수준까지 온 것 같다. 훌륭하다.


1987이 생각난다


영화 1987이 썼던 방식, 독재와 민주주의와 그 복잡한 시대 상황과 사건의 흐름을 인물 하나 하나의 내러티브로 담아냈던 그 느낌이었으면 어땠을까 한다. 예를 들어 걷지 못하는 친구를 지붕에서 내려보냈던 친구들의 이야기가 있다면 여기에 최소한의 서사를 덧붙여서 걷지 못하는 친구들의 용기와 우정을 좀 담아내본다든지, 매춘부에 대한 이야기는 아이들에게 부담되니 그냥 과감히 생략하고, 차리라 열둘의 제자들에게 내러티브를 조금 더 할애하면 어땠을까 어땠을까 어땠을까 아유 너무 아쉽다.

모든 사건이 그냥 그랬다는 사실로만 전달되고 충분한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니 영화로서 재미가 없다.



저예산 티가 난다


그래픽은 뽀로로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다. 앵글 구성이나 배경 구성도 썩 좋지는 못했다. 3D 에서는 좋은 색감을 찾는 것도 일인가, 그렇다면 나름대로 따뜻한 톤을 잘 찾아서 구현했다.



은비까비가 생각난다.







Read More

힐하우스 피부과의원 대구 - 박효진 원장

2025년에 개원했다. 피부과 전문의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당당히 피부과의원이지만 역시 주된 타깃은 미용이 될 수 밖에 없다. 아마 피부질환 때문에 피부과를 찾는 분들은 이런 분위기의 병원에 익숙하실 것이다. 나도 예전에 알레르기성 아토피 때문에 한참 병원을 찾아다녔는데 전부다 미용컨셉의 병원들이었다.



박효진 원장

https://www.instagram.com/drsolarderma/

그리고 힐하우스에서 운영하는 피부텐텐에도 출연하고 계시다.

https://www.youtube.com/@pibutenten

이 분 하시는 말씀이 촬영이 힘들단다... 병원 원장은 본업이 의사지만 사실은 병원 식구들을 먹여살리는 CEO 아닌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는 것이 2020년대를 살아가는 병원 원장의 운명이다.




뭔가 예능인의 피가 흐르고 계신 분인데 안타깝게도 직업이 의사이시다...



편의와 친절

친절부터 얘기하자면 일단 모든 임직원들이 뭔가 기분이 좋은 상태다. 부자연스러운 깍듯함도 없고 피곤하고 퉁명스러운 것도 없고 그냥 밝고 좋은 분위기다.

예약하고 가면 반드시 대기시간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은 여기 병원에서 항상 강조하는 운영 원칙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바쁜 토요일이라도 북적대는 분위기 없이 항상 한산한 느낌인 것이 제일 좋다.




마취, 시술, 진정에 이르는 전 과정에 1인실을 제공한다. 




미용 시술

현대의 피부 미용 시술은 아무리 봐도 그렇게 난이도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아무리 어려워도 타투보다는 쉬울 것 같다. 하지만 법적으로 타투는 의사만 가능한 게 아이러니.

그래서 피부 미용은 실력의 영역이라기보다 정성과 성의의 영역이 아닌가 싶다.

여기 박효진 원장님은 시술 시간이 길다. 제모를 포함한 각종 레이저부터 필러 보톡스까지 다 받아봤는데 한결같이 시술 시간이 다른 의사에 비해 평균 1.5 배이다. 그만큼 꼼꼼하고 여유롭게 환자의 상태를 살펴가면서 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현저하게 적어진다. 

제모를 할 경우 정확히 인중에 좌 3 우 3 여섯방을 꽂아주신다. 다른 병원 가면 좌2 우2 4방이다. 이런 차이가 결국 시술 시간을 길게 만들고, 결과를 좋게 만드는 것이다.

필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일단 주입을 빠르게 할 수록 고통은 배가되는 법, 천천히 들어오는 필러만큼 고마운 게 없다. 그리고 항상 좌우 대칭이 문제인데 이것은 얼마나 성의있고 꼼꼼하게 상태를 살피느냐에 달렸다. 절대로 바쁜 병원의 바쁜 의사에게 받으면 안 된다. 


결론

강추!


Read More

고진영 선수 아이언 스윙 단계별 분석

 골프 스윙 동작은 워낙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라 모든 몸의 위치를 하나 하나 잡아나가기 어렵다. 그러나 어렵다는 것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귀찮아서 그렇지 천천히 하면 할 수 있다.

스윙 동작을 부분적으로 하나씩 익히는 것과 최대한의 스윙 스피드를 내도록 제대로 힘을 사용하는 것은 결국 같은 목표에 도달한다. 자세를 똑바로 잡으면 제대로 힘을 쓸 수 밖에 없다. 자세 연습을 했는데 스윙 스피드가 안 나는 것은 아직 완벽한 자세가 아니기 때문이다. 반대로 10명에게 공을 멀리 보낼 수 있는 스윙 자세를 한 달간 각자 연구해보라고 하면 결국 모두가 비슷한 자세로 수렴할 것이다.

뻣뻣하게 포즈를 잡는 것과 부드럽게 힘을 빼고 스윙을 연결하는 것, 두 가지 모두 필요한 일이다. 여기서는 고진영 선수의 스윙 자세를 세밀하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고진영 선수는 비교적 원플레인 스타일의 스윙을 하는 선수로서 팔의 힘보다는 하체와 몸통의 힘을 더 많이 쓴다. 때문에 비거리의 효율성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정밀도와 일관성이 뛰어나다.

반면 레이트 스윙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서 상체가 하체에 다소 늦게 따라오며 몸통이 뒤틀리는 스타일이다. 파워를 내는 데는 좋으나 일관성에서 손해를 볼 수 있다. 또한 어깨의 회전과 몸통의 회전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뤄지는 부분도 복부의 뒤틀리는 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이다.

프로 선수를 무조건 따라한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이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부분적인 동작에만 집중하고 전체적인 느낌과 흐름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더 이상한 스윙이 된다. 둘째, 프로선수라고 해서 무조건 나에게 도움이 되는 동작만 하는 것은 아니고 때로는 엄청난 연습량이 따라와줘야만 구현 가능한 고난이도의 동작도 있어서 이런 건 흉내내지 않는 게 좋을 수도 있다.



왼쪽은 다운스윙, 오른쪽은 팔로스루

고진영 선수를 옆에서 보면 트랜지션때 약간의 리루트 동작(reroute)이 있긴 하지만 대체로 내려오는 평면과 올라오는 평면이 그대로 일치한다.


이제 정면을 보자.



백스윙 탑이다. 탑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탄력으로 상체를 더 위로 든다. 완전히 정지하는 게 아니라 방향을 바꾸기 위해 잠시 탄력적인 무중력 상태가 된다.





트랜지션과 동시에 무게 중심이 오른족으로 움직인다. 이 때 엉덩이는 뒤로/옆으로 살짹 빼는데 상체는 이제 백스윙을 마치고 잠깐 정지된 상태여서, 고진영 선수 특유의 허리가 뒤로 휘는 느낌이 나온다. 상체를 일부러 뒤로 제끼는 것 같지만 그건 백스윙의 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실제로 힘이 가해지는 것은 왼쪽 엉덩이다. 골반이 백스윙 시 뒤틀리면서 오른쪽으로 움직였다가 순간적으로 다시 제자리를 찾는 느낌이다. 폼을 따라해보면 이 동작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걸 깨닫게 된다. 작은 움직임일지라도 몸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엉덩이와 하체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면서 큰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무릎과 골반이 중립일 때, 팔은 오른쪽 정각. 어깨는 약간 기울여져 돌아가있다.

여기서부터 왼다리로 지면을 차서 올릴 것이다. 그리고 오른쪽 어깨와 오른쪽 팔꿈치를 몸 앞으로 가져오는(혹은 어깨가 하체에 의해 끌려오는) 상체 회전 동작이 시작된다.

왼다리가 지면을 차면서 일어나게 될텐데, 그렇다고 회전축이 움직이는 건 아니다. 골반 회전과 차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팔이 45도 내려왔을 때, 샤프트는 팔과 직각이다. 이 때 어깨가 정면에서 보면 높이가 같아진다. 측면에서 보면 왼쪽 어깨가 아직은 더 앞으로 나와있는 형태인데도 높이는 똑같다. 이 때문에 고진영선수의 상체 스윙은 더 뒤틀리는 모습이 된다. 왼무릎이 지면을 차면서 펴지고, 왼발 뒤꿈치도 살짝씩 떨어지기 시작한다.

여기서 어깨와 몸이 반대로 보고 있다. 어깨는 오른쪽을 보고 골반은 이미 많이 돌아가서 왼쪽을 본다. 상당히 골반이 돌아간 모습이다.





샤프트가 오른쪽을 볼 때의 모습. 손이 오른쪽 허벅지 정도에 있다.

여기서부터 손목이 풀리기 시작한다. 전형적인 릴리즈 시작 지점. 어깨는 기울어져있어도 상체의 회전 방향은 정면이다.




임팩트 순간. 역K자 모양을 만든다. 오른쪽 팔꿈치는 아직 접혀 있고 왼쪽은 아직 펴진 상태다.

두 팔이 앞으로 뻗어있지만 상체와 골반은 상당히 돌아가있다. 동그라미 지점이 원래는 몸 오른쪽에 있던 것이다. 어깨보다 골반이 훨씬 많이 돌아가있다.

왼쪽 무릎이 펴지는 동작은 여기서 마무리된다. 바닥의 지면을 차면서 반발력을 이용할 때, 임팩트 순간에 차는 것이 아니라 임팩트 직전까지 차는 것이다. 임팩트 타이밍과 무릎이 완전이 펴지는 타이밍을 맞춰야 하는데, 그냥 팔이 내려오면서 왼쪽 다리를 편다~ 이렇게 생각하니 편하다.

왼발이 상당히 지면에서 떨어져있다. 미세하게 점프를 한다. 안정성 측면에서는 손해를 보는 고난이도 동작. 





샤프트가 60도 지나갈 때, 오른팔꿈치과 왼팔꿈치가 모두 펴진 정도로 중립이 된다. 그동안 따로 움직이던 상체와 하체가 이제는 거의 같은 곳을 보면서 중립이다. 이 때까지 머리는 고정된 위치에서 축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준다.  여기서부터 앞으로 머리가 왼쪽으로 돌면서 피니쉬에 들어간다.





팔을 왼쪽으로 뻗었을 때는 상체가 골반을 앞지른 상태가 된다.




사실상 하체는 여기서 피니시가 다 된 것 같은데 이후에 오른다리가 다시 펴질 것이다. 



오른팔을 쭉 편 상태로 그대로 회전하여 피니쉬한다. 오른쪽 팔꿈치를 접지 않는 것이 핵심이다.



몸으로 익히기 전에 머리로 공부부터 해야 한다. 손의 위치에 따라 정리를 해 보면

오른쪽으로 쭉 뻗었을 때 - 골반 중립 상체 오른쪽

45도 내려오면 - 골반 왼쪽, 상체 오른쪽

손 허벅지까지 내려오면 - 어깨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고, 가슴은 정면, 골반은 왼쪽, 여기까지 샤프트 직각

임팩트 - 팔은 앞으로지만 상체와 골반은 회전된 상태, 오른쪽 무릎을 굽혀서 역K자

팔 왼쪽 뻗었을 때 - 상하체 같이 왼쪽을 보면서 상체는 약간 뒤를 보고 하체는 약간 앞을 보고

피니쉬 - 오른팔 쭉 뻗는다. 오른쪽 다리를 자연스럽게 편다.


이렇게 세세하게 따지는 게 소용이 있나? 있다 나는! 따라하다 보니 상하체 분리가 잘 되고 힘이 붙는다. 사람마다 배우는 스타일도 다르겠지.


사진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8XXmjiCTMSQ (민학수의 올댓골프)


Read More

머신러닝을 이용한 골프 캐리 비거리 예측

 



5번 우드와 7번 아이언을 사고 나서 중간에 유틸을 뭐 살까 고민하다가 별 짓을 다 하게 됐다. PGA 선수들의 데이터를 참고하여 볼스피드와 클럽의 로프트각을 넣으면 비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에는 숨은 파라미터로 발사각, 백스핀이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로프트각으로 추정하게 된다.

PGA선수들은 로프트 각을 크게 해서 눌러치므로 아마추어보다 1~3도 탄도각이 낮다. 이건 수동으로 보정해서 학습했다.


엑셀은 여기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RW7bvuE25NKvJtfHGOAN0n1zNeuqc8MC/edit?usp=sharing&ouid=118350847639347737934&rtpof=true&sd=true


머신러닝 돌리는 파이썬 코드는 이거 참고해보시길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kzpTuMiJg8XFqFJiasSGgPAq7PxWUui8?usp=sharing


만약 여러분들이 이 엑셀을 활용하려면 클럽 스펙을 집어넣기만 하면 된다. 로프트각과 클럽 스피드를 넣는다. 샤프트 길이를 알면 클럽 종류별 스피드도 대강 추청해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5w-5u-(7u)-7i 조합, 혹은 5w-6u-7i 조합 중 택해야 하는데

나는 클럽 숫자를 줄이고 싶으므로 6u 선택..

Read More

영화 1승

 1승은 여자 프로 배구를 소재로 한 영화이다. 


송강호, 조정식, 장윤주 등 이름있는 배우 몇몇이 출연하고 촬영 당시 현역 배구 선수들과 키가 큰 모델 출신 배우들이 활약했다. 배우들의 연기는 코믹한 컨셉을 감안해서 흠잡을 곳이 없다.


그러나 연출은 많은 구멍이 있는데... 후진 영화의 전형적인 특징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다.

1. 쓸데없는 장면과 대사

2. 설명이 부족한 캐릭터

안 그래도 밀도가 부족해서 늘어지는데 막상 필요한 캐릭터 묘사는 없다는 것이다. 주전 선수 모두에게 서사를 부여하기는 어려울지라도 각각의 성격과 딜레마를 보여줄 수 있는 씬이 모자라거나 빈약하다.

그나마 서사가 부여된 선수는 소심하고 눈치를 본다는 강지숙이 긍정적 언어로 성장한다는 것, 팀내 에이스 선수에게 잘 보이기 위해 나머지 팀원을 따돌렸던 이민희가 다시 팀원으로 받아들여지고 화해한다는 것 정도이다. 그마저도 너무 단순하게 묘사되어 아쉬움이 남는다. 팀내 문제 선수에 대해 다양한 팀원들의 반응과 의견이 있을텐데 너무 하나같이 한 선수를 따돌리다가 또 하나같이 받아들인다.

상대팀으로 이적한 성유리도 "나애리 나쁜 계집애" 정도의 묘사만 있을 뿐 뭘 얼마나 잘못했는지 모르겠고, 성격이나 그의 승부욕에 대한 묘사도 없다. 슬램덩크와 같은 좋은 예시가 있는데, 리그 모든 팀 모든 선수는 아니더라도 상대팀 에이스 정도는 성의있는 묘사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


그 무엇보다 가장 불만은 다들 너무 똑같이 생겼다. 안 그래도 쌍둥이 캐릭터까지 나오는 판에 너무 헷갈린다.



[장윤주]

[쌍둥이 언니]


[쌍둥이 동생] 1인 2역이다.


[소심한 강지숙]


운동선수라는 점을 감안해서 전형적인 미인상을 넣을 수는 없었던 것, 그리고 얼굴 화장이 전부 똑같다는 것이 합쳐져 다 비슷해보인다. 진한 눈썹, 갈색 쉐도우, 작은 입.


[둘 다 인상이 똑같다]


서사의 포인트는 두 가지다. 

1. 뭔가 결여된 자들과 패배자들이 모여서 승리를 이룬다.

2. 오합지졸이었던 팀이 하나된다.

이거 너무 뻔한 거 아니냐고. 그런데도 몰입만 할 수 있다면 재미있다. 아예 구단주가 록키와 같은 서사를 만들고 싶다고 대놓고 말하는데 약간 제 3의 벽을 부수는 느낌이다.




눈에 띄는 건 경기장 조명이다. 일반적인 코트 조명으로는 극적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에 관람석은 어둡게 하고 광고판으로 색상을 입혔는데, 나름대로 괜찮은 분위기가 난다.


배구 자체에 대한 묘사는 나름 괜찮은 포인트다. 작전에 대한 설명도 스포츠 영화로서 흥미로운 부분이고, 원테이크로 이어지는 랠리는 액션성이 뛰어나다.

시원시원한 키의 선수들의 운동 모습은 그냥 즐겁다. 배구 경기 한 번 보러 가는 셈 치고 영화를 본다면 매우 만족.


그 밖에 어이없는 빈틈이 상당히 많다. 예를 들면 ...


[팀의 에이스가 광고판에 부딪혀 넘어졌는데 다들 구경만 하고 있다 ..  다이죠브! 이걸로 끝... ]

김연경의 등장도... 너무 억지스럽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만의 영화 관람 포인트.

어떤 영화든 작전실, 전략실 이런 곳에서는 항상 불을 끄더라.... 불 좀 켜라 안 답답하니?






Read More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