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 개원했다. 피부과 전문의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당당히 피부과의원이지만 역시 주된 타깃은 미용이 될 수 밖에 없다. 아마 피부질환 때문에 피부과를 찾는 분들은 이런 분위기의 병원에 익숙하실 것이다. 나도 예전에 알레르기성 아토피 때문에 한참 병원을 찾아다녔는데 전부다 미용컨셉의 병원들이었다.
https://www.instagram.com/drsolarderma/
그리고 힐하우스에서 운영하는 피부텐텐에도 출연하고 계시다.
https://www.youtube.com/@pibutenten
이 분 하시는 말씀이 촬영이 힘들단다... 병원 원장은 본업이 의사지만 사실은 병원 식구들을 먹여살리는 CEO 아닌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는 것이 2020년대를 살아가는 병원 원장의 운명이다.
뭔가 예능인의 피가 흐르고 계신 분인데 안타깝게도 직업이 의사이시다...
친절부터 얘기하자면 일단 모든 임직원들이 뭔가 기분이 좋은 상태다. 부자연스러운 깍듯함도 없고 피곤하고 퉁명스러운 것도 없고 그냥 밝고 좋은 분위기다.
예약하고 가면 반드시 대기시간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은 여기 병원에서 항상 강조하는 운영 원칙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바쁜 토요일이라도 북적대는 분위기 없이 항상 한산한 느낌인 것이 제일 좋다.
마취, 시술, 진정에 이르는 전 과정에 1인실을 제공한다.
강추!
골프 스윙 동작은 워낙 순식간에 일어나는 일이라 모든 몸의 위치를 하나 하나 잡아나가기 어렵다. 그러나 어렵다는 것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귀찮아서 그렇지 천천히 하면 할 수 있다.
스윙 동작을 부분적으로 하나씩 익히는 것과 최대한의 스윙 스피드를 내도록 제대로 힘을 사용하는 것은 결국 같은 목표에 도달한다. 자세를 똑바로 잡으면 제대로 힘을 쓸 수 밖에 없다. 자세 연습을 했는데 스윙 스피드가 안 나는 것은 아직 완벽한 자세가 아니기 때문이다. 반대로 10명에게 공을 멀리 보낼 수 있는 스윙 자세를 한 달간 각자 연구해보라고 하면 결국 모두가 비슷한 자세로 수렴할 것이다.
뻣뻣하게 포즈를 잡는 것과 부드럽게 힘을 빼고 스윙을 연결하는 것, 두 가지 모두 필요한 일이다. 여기서는 고진영 선수의 스윙 자세를 세밀하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고진영 선수는 비교적 원플레인 스타일의 스윙을 하는 선수로서 팔의 힘보다는 하체와 몸통의 힘을 더 많이 쓴다. 때문에 비거리의 효율성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정밀도와 일관성이 뛰어나다.
반면 레이트 스윙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서 상체가 하체에 다소 늦게 따라오며 몸통이 뒤틀리는 스타일이다. 파워를 내는 데는 좋으나 일관성에서 손해를 볼 수 있다. 또한 어깨의 회전과 몸통의 회전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뤄지는 부분도 복부의 뒤틀리는 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이다.
프로 선수를 무조건 따라한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이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부분적인 동작에만 집중하고 전체적인 느낌과 흐름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더 이상한 스윙이 된다. 둘째, 프로선수라고 해서 무조건 나에게 도움이 되는 동작만 하는 것은 아니고 때로는 엄청난 연습량이 따라와줘야만 구현 가능한 고난이도의 동작도 있어서 이런 건 흉내내지 않는 게 좋을 수도 있다.
고진영 선수를 옆에서 보면 트랜지션때 약간의 리루트 동작(reroute)이 있긴 하지만 대체로 내려오는 평면과 올라오는 평면이 그대로 일치한다.
이제 정면을 보자.
여기서부터 왼다리로 지면을 차서 올릴 것이다. 그리고 오른쪽 어깨와 오른쪽 팔꿈치를 몸 앞으로 가져오는(혹은 어깨가 하체에 의해 끌려오는) 상체 회전 동작이 시작된다.
왼다리가 지면을 차면서 일어나게 될텐데, 그렇다고 회전축이 움직이는 건 아니다. 골반 회전과 차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어깨와 몸이 반대로 보고 있다. 어깨는 오른쪽을 보고 골반은 이미 많이 돌아가서 왼쪽을 본다. 상당히 골반이 돌아간 모습이다.
여기서부터 손목이 풀리기 시작한다. 전형적인 릴리즈 시작 지점. 어깨는 기울어져있어도 상체의 회전 방향은 정면이다.
두 팔이 앞으로 뻗어있지만 상체와 골반은 상당히 돌아가있다. 동그라미 지점이 원래는 몸 오른쪽에 있던 것이다. 어깨보다 골반이 훨씬 많이 돌아가있다.
왼쪽 무릎이 펴지는 동작은 여기서 마무리된다. 바닥의 지면을 차면서 반발력을 이용할 때, 임팩트 순간에 차는 것이 아니라 임팩트 직전까지 차는 것이다. 임팩트 타이밍과 무릎이 완전이 펴지는 타이밍을 맞춰야 하는데, 그냥 팔이 내려오면서 왼쪽 다리를 편다~ 이렇게 생각하니 편하다.
왼발이 상당히 지면에서 떨어져있다. 미세하게 점프를 한다. 안정성 측면에서는 손해를 보는 고난이도 동작.
몸으로 익히기 전에 머리로 공부부터 해야 한다. 손의 위치에 따라 정리를 해 보면
오른쪽으로 쭉 뻗었을 때 - 골반 중립 상체 오른쪽
45도 내려오면 - 골반 왼쪽, 상체 오른쪽
손 허벅지까지 내려오면 - 어깨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고, 가슴은 정면, 골반은 왼쪽, 여기까지 샤프트 직각
임팩트 - 팔은 앞으로지만 상체와 골반은 회전된 상태, 오른쪽 무릎을 굽혀서 역K자
팔 왼쪽 뻗었을 때 - 상하체 같이 왼쪽을 보면서 상체는 약간 뒤를 보고 하체는 약간 앞을 보고
피니쉬 - 오른팔 쭉 뻗는다. 오른쪽 다리를 자연스럽게 편다.
이렇게 세세하게 따지는 게 소용이 있나? 있다 나는! 따라하다 보니 상하체 분리가 잘 되고 힘이 붙는다. 사람마다 배우는 스타일도 다르겠지.
사진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8XXmjiCTMSQ (민학수의 올댓골프)
5번 우드와 7번 아이언을 사고 나서 중간에 유틸을 뭐 살까 고민하다가 별 짓을 다 하게 됐다. PGA 선수들의 데이터를 참고하여 볼스피드와 클럽의 로프트각을 넣으면 비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에는 숨은 파라미터로 발사각, 백스핀이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로프트각으로 추정하게 된다.
PGA선수들은 로프트 각을 크게 해서 눌러치므로 아마추어보다 1~3도 탄도각이 낮다. 이건 수동으로 보정해서 학습했다.
엑셀은 여기
머신러닝 돌리는 파이썬 코드는 이거 참고해보시길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kzpTuMiJg8XFqFJiasSGgPAq7PxWUui8?usp=sharing
만약 여러분들이 이 엑셀을 활용하려면 클럽 스펙을 집어넣기만 하면 된다. 로프트각과 클럽 스피드를 넣는다. 샤프트 길이를 알면 클럽 종류별 스피드도 대강 추청해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5w-5u-(7u)-7i 조합, 혹은 5w-6u-7i 조합 중 택해야 하는데
나는 클럽 숫자를 줄이고 싶으므로 6u 선택..
1승은 여자 프로 배구를 소재로 한 영화이다.
그러나 연출은 많은 구멍이 있는데... 후진 영화의 전형적인 특징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다.
1. 쓸데없는 장면과 대사
2. 설명이 부족한 캐릭터
안 그래도 밀도가 부족해서 늘어지는데 막상 필요한 캐릭터 묘사는 없다는 것이다. 주전 선수 모두에게 서사를 부여하기는 어려울지라도 각각의 성격과 딜레마를 보여줄 수 있는 씬이 모자라거나 빈약하다.
그나마 서사가 부여된 선수는 소심하고 눈치를 본다는 강지숙이 긍정적 언어로 성장한다는 것, 팀내 에이스 선수에게 잘 보이기 위해 나머지 팀원을 따돌렸던 이민희가 다시 팀원으로 받아들여지고 화해한다는 것 정도이다. 그마저도 너무 단순하게 묘사되어 아쉬움이 남는다. 팀내 문제 선수에 대해 다양한 팀원들의 반응과 의견이 있을텐데 너무 하나같이 한 선수를 따돌리다가 또 하나같이 받아들인다.
상대팀으로 이적한 성유리도 "나애리 나쁜 계집애" 정도의 묘사만 있을 뿐 뭘 얼마나 잘못했는지 모르겠고, 성격이나 그의 승부욕에 대한 묘사도 없다. 슬램덩크와 같은 좋은 예시가 있는데, 리그 모든 팀 모든 선수는 아니더라도 상대팀 에이스 정도는 성의있는 묘사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
그 무엇보다 가장 불만은 다들 너무 똑같이 생겼다. 안 그래도 쌍둥이 캐릭터까지 나오는 판에 너무 헷갈린다.
운동선수라는 점을 감안해서 전형적인 미인상을 넣을 수는 없었던 것, 그리고 얼굴 화장이 전부 똑같다는 것이 합쳐져 다 비슷해보인다. 진한 눈썹, 갈색 쉐도우, 작은 입.
[둘 다 인상이 똑같다]
서사의 포인트는 두 가지다.
1. 뭔가 결여된 자들과 패배자들이 모여서 승리를 이룬다.
2. 오합지졸이었던 팀이 하나된다.
이거 너무 뻔한 거 아니냐고. 그런데도 몰입만 할 수 있다면 재미있다. 아예 구단주가 록키와 같은 서사를 만들고 싶다고 대놓고 말하는데 약간 제 3의 벽을 부수는 느낌이다.
눈에 띄는 건 경기장 조명이다. 일반적인 코트 조명으로는 극적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에 관람석은 어둡게 하고 광고판으로 색상을 입혔는데, 나름대로 괜찮은 분위기가 난다.
배구 자체에 대한 묘사는 나름 괜찮은 포인트다. 작전에 대한 설명도 스포츠 영화로서 흥미로운 부분이고, 원테이크로 이어지는 랠리는 액션성이 뛰어나다.
시원시원한 키의 선수들의 운동 모습은 그냥 즐겁다. 배구 경기 한 번 보러 가는 셈 치고 영화를 본다면 매우 만족.
그 밖에 어이없는 빈틈이 상당히 많다. 예를 들면 ...
김연경의 등장도... 너무 억지스럽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만의 영화 관람 포인트.
어떤 영화든 작전실, 전략실 이런 곳에서는 항상 불을 끄더라.... 불 좀 켜라 안 답답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