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멀티이펙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멀티이펙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GE250 - 좋은 소리, 풍부한 기능, 애매한 사용성

 




GE250은 GE300보다는 낮고 기타 GE150, GE200보다는 높은 등급의 멀티이펙터이다. 간단히 몇 가지 앰프 시뮬에 쓸만한 톤을 원하는 사람들은 GE150같은 걸 사고 250이나 300을 살 바에야 더 높은 하이엔드로 가기 때문에 300도 아닌 250은 상당히 애매한 위치에 있다. 너무 비싼 건 그렇지만 톤 시뮬레이터와 다양한 사운드를 맛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딱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멀티이펙터로서 소리 자체는 훌륭하다. 사실 요즘 세대의 대부분의 멀티 이펙터는 옛날에 비해 일취월장한 사운드를 보여주며 세밀한 톤 컨트롤이 필요없다면 왠만한 공연/녹음을 다 커버할 수준이 된다.

박자를 알아서 맞춰주는 긴 시간의 루프를 제공하고, 메트로놈, 드럼 비트도 제공되기 때문에 방구석에서 혼자 연습하기는 딱이다. 

GE250 이 제품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사용성이다. 단 하나의 노브로 모든 것을 컨트롤해야 하는데, 마치 vi 에디터를 쓰듯이 커서를 옮긴 뒤 클릭, 값을 바꾼 뒤 클릭, 다시 커서 옮기기를 반복해야 한다. 최소한 커서 위치를 옮기는 노브 하나만 더 달았어도 이렇게 불편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데 사용하기 힘들다는 것이지 어렵다는 뜻이 아니다. 사용하기 어려운 것과 불편한 것은 다르다. 개별 스톰프를 포함해서 매우 많은 외장 버튼을 달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다만 기존 프리셋을 수정하는데 노가다가 필요하다는 것 뿐이다.

그 밖에 세밀한 부분에서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페이지당 3개의 톤이 할당되어 있는데 최소 5개 이상씩 묶었어야 페이지를 무한히 넘기는 수고를 덜을 수 있을 것이다. 버튼 밑에 달린 조명도 과도하게 밝아서 어두운 공간에서 눈이 아플 지경인데 조절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 UI를 보면 저게 과연 최선인가? 싶을 정도로 UI 디자인이 엉망이다. 전문 디자이너 없이 뚝딱 만들어낸 결과가 아닌가.

아이폰이 통화 잘 되고 카메라 잘 찍힌다고 아이폰이 되는 게 아니다. 편리한 사용성과 유려한 UI가 합쳐져서 제품의 아이덴티티가 된다. VAIO 노트북, 삼성 갤럭시, 그 외 우리가 인정하는 수많은 기기들은 자신만의 색깔과 철학이 있다. GE250은 과연 어떤 멀티이펙터인가.

쉽고 기능 많은 멀티이펙터는 맞지만 완성도가 아쉽다.


Read More

디지텍 RP500 - 좋은 느낌의 조작감, 살짝 거친 소리



디지텍에서 나온 일렉기타 멀티 이펙터이다. rp 시리즈 중에서 rp1000보다는 한 단계 낮고 rp355보다는 한 단계 위. 너무 조작이 불편하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하이엔드급은 아닌 딱 적당한 수준이다. 자동차로 치면 준중형, 노트북으로 치면 13인치.

홈페이지 링크 : RP500 (discontinued) | Multi-Effects Switching System & USB Recording Interface (digitech.com)
들어가면 각종 소프트웨어와 매뉴얼 등 얻을 것이 많다.

내가 일렉기타 사운드를 기똥차게 연구하는 사람도 아니고 모든 이펙터를 다 써본 것도 아니기에 비교 설명은 절대 불가하지만;;; 나름 신디사이저를 오래 다루면서 소리에 관해서는 듣는 귀가 있고, 또 이런 기계 만지는 것이 취미, 게다가 매뉴얼도 읽어본 사람이다 나는 푸하하하 ㅋㅋㅋㅋㅋ

왠만하면 매뉴얼은 훑어보는게 좋지 않을까나.
나름 받은 느낌, 핵심 기능 위주로 간략하게 적어본다.

*외장은 모두 메탈로 되어 있고 스위치도 메탈 재질이라 딱 튼튼한 느낌이 온다. 그러나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노브 등등은 다 플라스틱.;;;

*튜너를 키려면 바이패스를 2초간 누르고 있어라! A를 보통 440Hz로 놓고 쓰는데 427에서 453까지 조절 가능하다. 혹시나 다운튜닝된 피아노와 같이 연주를 해야 한다면 유용할지도??

*대부분의 멀티이펙터가 그렇듯이 미리 들어있는 프리셋은 100가지나 되는데 딱 느낌이 오는 것은 없다;;; 수만가지 톤이 있어도 마음에 드는 게 하나도 없으면 말짱 도루묵. 결국에는 마음에 드는 거 한 두개만 쓰니 꾹꾹이나 마찬가지. 100개의 프리셋, 100개의 유저셋을 지원하고 톤 라이브러리라고 샘플톤을 즉각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멀티이펙터의 디스토션은 왠지 따뜻한 느낌이 없고, 다양하나 지저분할 것 같다는 선입견이 있다. 너무 뻔한 톤만 나올 것 같고 동시에 너무 특이한 톤이 나올 것 같은 이상한 선입견. 특히 디지텍의 이펙터들이 좀 따가운 느낌이 드는 편이지. rp500도 그다지 따뜻한 느낌은 없는데, 대신 무진장 다양한, 그리고 대부분 쓸만한 그런 톤이 잔뜩 있다. 앰프 앞쪽에서 디스토션을 고를 수 있고, 앰프 시뮬레이터의 오버톤도 고를 수 있고, 막단에 캐비넷 톤도 고를 수 있어서 세 가지를 잘 조합하면 원하는 소리에 근접한 무언가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이론상 디스토션 18가지 x 앰프 52가지 x 캐비넷 25가지 조합을 만들 수 있다. 데모/프리셋 사운드만 들어봐서는 이게 얼마나 좋은 톤인지 알 수 없다. 개인적으로는 이모코어 하기 딱 좋은 (그리고 교회에서 자주 쓰는) 너무 빡세지도 않고 허무맹랑하지도 않은 알맹이가 꽉 들어찬 아주 그런 톤을 만질 수 있다.

*LFO가 2개나 들어 있어서 자신이 원하는 파라미터를 걸어 놓을 수 있다. LFO가 뭐냐고? 간단하게 트레몰로 생각하면 된다. 트레몰로는 LFO에 볼륨을 연결한 것이고, 그 밖에 다른 파라미터를 연결해서 자동으로 와리가리 한다는 것이지. LFO를 잘 이용하면 신디사이저와 같은 이펙터 소리를 얻을 수 있다.

*페달에도 당연히 여러 파라미터를 연결할 수 있다. 보통 앰프 게인이나 디스토션을 와우랑 같이 걸어서 효과를 내기도 하고, 아니면 리버브 같은 걸 걸어서 순간적으로 울림을 낸다거나.

*디지텍 시리즈의 페달은 다른 그 어떤 회사보다도 부드럽고 산뜻하고, 안정적이다. 페달 비교하면서 밟아보면 차이가 확실히 느껴짐.

*별에 별 잡다한 이펙터들 전부 내장. 코러스, 페이져, 플랜져 같은 건 종류별로 몇 가지씩 다 있고 옥타브니 피치 쉬프트니 뭐 그런 거랑 비브라토, 트레몰로, 야야, 등등 그리고 랜덤 와우, 랜덤 피치는 뭐야 ㅋㅋㅋㅋ 이런 것도 다 있음;; 멀티이펙터가 최고 쓸모 있을 때다.

*앞 쪽에 페달 버튼 5개로 프릿셋 톤을 선택할 수도 있고 페달보드처럼 하나의 프리셋 중에서 각 모듈을 온/오프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근데 디스토션 톤은 앰프시뮬레이터랑 같이 연동해서 만드는 거라 조절이 좀 어렵다. 앰프는 페달로 못 끄기 때문에.

*USB로 연결하면 소프트웨어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EQ관련 파라미터들은 컴퓨터 연결로만 조절 가능;;

*EQ는 3밴드에 프리퀀시 대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큐에 목숨을 거는 나로서는 조금 아쉬운 부분... 최소 4밴드는 되야 속이 풀리는데;

*USB 레코딩이 된다. 전용 드라이버 깔면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하나 더 생기고, 단순한 오디오 인 아웃과 똑같이 동작한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전송해서 녹음하는 것보다 디지털로 전송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음질이 더 좋겠지?

*다이렉트 박스 내장 - 캐논(마이크잭) 출력 가능. 스테레오 가능. 리버브나 오토팬 같은 효과에서 스테레오 사용하면 좋음.

*루프 기능을 지원한다. 쉽게 말해서 짧막한 레코딩 + 무한 반복 기능. 옛날에 구입한 사람들은 펌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업스위치를 2초간 누르고 있으면 기타를 플레이하자마자 스타트가 되고 3초간 누르고 있으면 다운스위치를 누를 때 스타트가 된다고. 다운스위치를 눌러서 레코딩을 시작하거나 멈출 수 있다.

*페달 앞쪽을 꽉 밟으면 와우 온/오프를 할 수 있는데, 이거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와우 꺼질까봐 앞에서만 깔짝 깔짝 한다거나(그래봤자 결국엔 어쩌다 건드려서 와우 꺼짐) 아니면 와우를 켜기 위헤 스카이 콩콩을 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음
.
*역시 멀티이펙터는 이어폰으로 꽂아서 듣는 재미. 컴퓨터 스피커 연결해서 소리 들을 수도 있고, 스테레오 출력 기능으로 사용해도 좋고; 참고로 나는 앰프 없음 깔깔깔 (사실은 연주할 공간이 없어서 ㅜㅜ)




이것이 제공 소프트웨어의 모습이다.
모든 파라미터들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마우스로 수정하는 즉시 이펙터에 반영되어 소리를 들어보면서 조정한다.
저장된 세트들을 백업/복구하는 기능이 가장 필요할 것이다.
펌웨어 업데이트 전에 반드시 백업해야 한다.

Read More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