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와 기술자 - 당신은 작품을 만드는가

당신이 만든 그 결과물은 당신의 작품인가? 나는 지금 비록 프로그래머이지만 한 때는 작곡가를 꿈꾸던 음악인이었고, 지금도 다양한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는 중이다. 나는 엔지니어 이전에 아티스트였고, 그러한 성향이 평소에든 일을 할 때든 많이 드러나곤 했다. 내가 만든 프로그램은 그 누구에게 보여주어야 할 결과물 이전에 나만의 작품이다. 이러한 생각이 일에 도움이 될 때는 누구보다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만 괜히 내 맘대로 뭘 해보려다가 일을 망치는 경우도 많았다. 예전에 동아리 활동에서 대자보를 만드는 일이 많았는데, 나는 심각한 고민과 구상 끝에 꼼꼼한 크레파스질과 가위질로 예술작품을 만드는 반면에, 다른 후배는 대충(내가 볼 때) 인터넷에서 자료를 참고한 뒤 쓱싹쓱싹 순식간에 우리에게...
Read More

서태지 이후 30년, 대중가요 흐름을 바꾼 가수들

모든 것은 서태지로부터 시작되었다. 나는 서태지 세대임과 동시에 서태지 광팬이기도 하다.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서태지 팬들 중에서도 나는 그냥 가요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30년간 가요계도 수도 없이 흐름이 바뀌었는데, 곰곰이 돌아보면 눈에 띄는 가수 몇몇이 생각난다. 해서 그들이 누구인지 적어보면서 추억을 회상해보고 싶다. 30년간의 가요계를 몇 몇의 등장으로 정리하는 건 너무 심하게 퉁치는 것 같기도 하다. 중요한 몇 가지만 제외하고는 대충대충 생략해본다. 선정 기준은 새로운 흐름을 창시하고 주도했느냐이다. 이전 시대의 유행을 끝내고 새로운 유행을 가져온, 혁신적인 전환을 주도했던 그룹을 추리고 추려서 꼽아본다. 서태지와 아이들 우선 서태지. 그리고 아이들. 서태지는 하두 얘기할 게 많은데,...
Read More

손 글씨 잘 쓰는 법

나는 어렸을 때부터 악필로 대단했다. 커서도 잘 고쳐지지 않다가 스물 후반이 다 되어서야 어느 정도 교정이 되었는데, 그제서야 필기에 흥미를 느낀 탓이다. 지금도 글씨를 잘 쓰는 편은 아니지만 대충 가지런하게는 쓸 수 있다. 악필에서부터 어떻게 벗어났는지 살짝 노하우를 공개하고자 한다. 우선 인간이 왜 글씨를 못 쓰게 되는가? 부터 생각해보자. 내 경우에는 글씨 쓰는 것 자체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모든 숙제고 글쓰기고 몽땅 귀찮다. 굳이 잘 써야 할 이유도 모르겠고. 그런 상태로 고등학교까지 졸업하고 나면 거의 평생 악필이 된다.악필을 벗어나는 데는 단순한 연습량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악필이라고 글씨 쓰는 횟수가 적은 것이 아니다. 문제는 글씨를 쓰면서 모양에 집중을 하지 않으니 아무리 글씨를...
Read More

git 튜토리얼 (1)

들어가면서 Git을 자주 쓰는 사람들은 Git이 대세라고 확신할테고, 심한 경우에는 "요즘 Git도 안 쓰고 개발이 되냐"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 많은 사람들이 Git에 손을 못 대고 있거니와, 쓰더라도 자세히 모르고 그냥 쓰는 경우도 많다. Git의 장점은 그냥 강력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개발의 핵심도 아닌 도우미 프로그램 치고는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위안거리가 있는데, Git의 기능 중 한 가지라도 배우면 그건 반드시 유용하게 써먹게 된다. 강력하고 어려운데 쓸데없다면 그게 왠 똥인가 말이다. 그런데 Git은 최소한 다 쓸모있다. 배운만큼 써먹자. 형상 관리 프로그램 형상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프로젝트 통째로 zip으로...
Read More

영어 비슷한 한국 발음 랩, 노래 잘 하는 법, 해외파 흉내내기!

이런 비법도 내가 소개할 줄 몰랐다. 옛날에 2004년도인가 군대에 있을 때 한참 타블로가 잘나갈 때, 한 선임이 말했다. 얘네 발음에 너무 미쿡물이 많이 들었다. 근데 듣기 좋다. 그 때는 몇 몇 가수들 뿐이었는데 나중에 보니깐 씨엘이고 뭐고 전부 발음을 굴리는게 유행이 됐다. '조 프룬 뷜딩위로우~' 그 때는 저렇게 랩 하는 거 따라해볼래도 잘 안 됐는데 지금은 어떻게 하는지 안다. 혀 끝을 아랫니에 살짝 댄다. 그리고 절대 떼지 않고 노래든 랩이든 하면 된다. ㅋㅋㅋㅋㅋㅋㅋ 원래 영어 발음이 대부분 혀끝에서 이루어진다. 이제부터 당신은 교포 2세 해...
Read More

우분투에서 C++ 개발하기 (1) - 컴파일 과정 및 gcc

이 글은 윈도우에서 Visual Studio만 쓰다가 Ubuntu를 생소하게 생각하는, 나와 같은 사람을 위해 쓴다. 글쓰기에 들어가기 전에 Visual Studio와 같은 통합 환경에 비해 리눅스에서 C++과 같은 언어를 개발한다는 것이 얼마나 복잡한 일인가부터 상기시켜야겠다. C++ 자체가 원래 언어차원에서부터 빌드가 영 까다로운 부분이 있다. 리눅스 사용자는 그 문제를 그대로 정면으로 맞이해야 한다.  그나마 편리하게끔 만든 것이 3편에서 나오는 CMake 정도인데, 이것마저도 복잡한 스크립트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자유롭고 오픈될 수록 불편하고 복잡하다. 자유도가 높다는 것은 그 자유를 누릴 수 있을 수준으로 공부와 노력을 들여야 겨우 좀 사용할만하다는 뜻이 된다. 하여튼 글 쓰기의...
Read More

로지텍 G102 : 가성비 최고의 게이밍 마우스

예전에 노트북 리뷰에서도 밝혔지만 가성비가 좋다는 말은 결코 칭찬이 아니다. 가격대 성능비 라는 말에서 성능이란 센서의 감도나 기능을 뜻한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런 것들을 제외하고 정숙성, 내구성, 클릭감, 기타 재료 마감 등에서 분명히 아쉬운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모든 사람이 고급을 쓸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원하는 마우스를 원하는 가격대에 사는 것이다. 6버튼 마우스이다. 좌 / 우 / 휠버튼 / DPI 조정 버튼 / 오른쪽 엄지부분에 앞, 뒤 네비게이션 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버튼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하드웨어 매크로도 지원해준다. DPI는 400부터 8000까지 폭넓게 지원하며 50단위로 조정 가능하다. 최대 5개까지 미리 저장해놓은 뒤,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Read More

레오폴드 FC750R 실버(은축) 리뷰

레오폴드에서 드디어 은축(스피드축) 모델이 나왔다. 나름 깔끔한 마감으로 소문이 난 레오폴드라서 스피드축 입문에는 아주 좋을 듯 하다. 1. 스피드축에 대해서 스피드축은 스트로크 깊이가 짧아짐과 동시에 키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깊이가 매우 짧아져서 아주 살짝만 눌러도 바로 인식이 된다. 이 점에 대해 기존 적축/리니어 유저라도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 꽤 있는 듯.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습관은 손목의 움직임과 손가락 움직임이 합쳐져 있다. 손목을 많이 쓰면 타이핑하는 힘이 좋지만 정교함은 다소 떨어진다. 반면에 손가락을 오물오물 움직이면 키를 누르는 힘은 떨어지지만 더욱 정교한 움직임이 가능하고 키보드에 따라서는 더 빠른 타이핑이 가능하다. 거의 손목으로 치는 사람들은 대체로 흑축이나 청축의 반발력을...
Read More

Visual Studio 2017 + 파이썬 + Tensor Flow 셋팅

Windows에서 파이썬이 돌아간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면서도 막상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돌릴 때는 리눅스를 사용하게 된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수많은 예제들이 모두 리눅스 기반으로 돌아가기도 하거니와 왠지 윈도우 파이썬은 뭔가 호환이 안 될것 같은 기분 탓이다. 요즘은 파이참(PyCharm)이라는 좋은 개발 환경도 있고, Visual Studio에서도 파이썬을 기본으로 서포트해주기 때문에, 윈도우에서도 특별한 고생 없이, 어쩌면 리눅스보다 더 편하게 파이썬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작은 언제나 두려운 법. 파이썬 초보들도 쉽게 Tensor Flow를 셋팅할 수 있도록 튜토리얼을 작성해본다. 우선 Visual Studio를 깔아야한다. 2017버전을 설치할 때, Python 개발 환경을 체크해야 한다....
Read More
Powered by Blogger.